SKT 해킹 사건 단체소송 참여 방법
SKT 고객으로서, 이번 해킹 사건을 보며 확실히 느꼈습니다. 내 정보는 누가 지켜주지도, 대신 싸워주지도 않는다는 것.
결국 내 권리는 내가 지켜야 한다는 사실 말이에요.
SK의 공식 대응은 기대에 한참 못 미쳤고, 몇 줄의 사과문으로는 돌이킬 수 없는 불안과 불쾌함이 남았습니다.
이대로 넘어가서는 안 되겠다는 생각이 들었고, 비록 시간이 걸리더라도, 단체소송에 참여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단순히 돈의 문제가 아닙니다.
기업의 책임을 제대로 묻고, 앞으로 다시 이런 일이 반복되지 않게 하는 것.
그 출발점이 바로 지금 우리가 할 수 있는 작은 행동이라고 생각합니다.
단체소송이란?
여러 피해자가 힘을 합쳐 한 번에 소송을 제기하는 방법입니다.
개인이 따로 변호사를 선임할 필요 없이 전문 로펌이나 소송 플랫폼을 통해 쉽게 참여할 수 있습니다.
참여 방법
1) 네이버, 구글, 카카오톡 오픈채팅 등 여러 플랫폼 통해 SKT 해킹 관련 소송 모집 공고 확인
별도 변호사 선임 없이 플랫폼 신청
네이버 'SK텔레콤 개인정보유출 집단소송카페", 유명 변호사 유투버 등 단체소송 모집 중
2) 간단한 신청서 작성
선납 비용, 패소시 추가 비용 없음, 소송진행상황 문자 동의
3) 필요서류
SKT 가입 증명: 사건 발생 당시 SKT 가입자였음을 증명할 수 있는 서류 (예: 통신요금 청구서, 가입 확인서 등).
피해 입증 자료 (해당 시): 위자료 청구가 주된 목적이지만, 만약 해킹으로 인해 구체적인 피해(금전적 손실, 명의도용 시도, 관련 비용 발생 등)를 입었다고 생각된다면 관련 증거 자료
✔ 얼마나 오래 걸릴까? 인내심이 필요합니다
법적 분쟁은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과정입니다. 특히 다수의 당사자가 참여하는 소송은 1심 판결이 나오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릴 수 있으며, 이후 항소, 상고 등 상급심 절차가 진행되면 최종 확정까지 수년이 걸리는 경우도 흔합니다. KT 사례처럼 5년 이상 소요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소송 비용은 & 보상금액
- 착수금 일부 플랫폼 5천원-1만원 수준
- 성공보수 20~30% (보상금에서 자동 차감, 따로 내는 돈 없음)
- 패소하면 비용 부담 없음
- 보상 개인당 약 10만원 ~ 30만 원 수준 예상
(최종 결과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참고 사례: 과거 개인정보 유출 보상
인터파크 해킹 사건(2016)
→ 1인당 10만 원 청구 → 2021년 대법원 "1인당 10만 원 배상 확정"
→ 하지만 실제 배상 시엔 소송비용 제외 후 6~8만 원 지급
네이트·싸이월드 해킹 사건(2011)
→ 1인당 30만 원 청구 → 결국 패소 or 극소수만 지급
페이스북 한국 사용자 소송(진행 중)
→ 1인당 30만 원 청구, 2024년 기준 아직 결과 없음
실제로 받을 수 있는 금액은 7~21만 원 정도 (청구액과 성공보수에 따라 달라짐)
시간이 걸리더라도,
함께 힘을 모아 피해를 인정받는 것.
그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인사이트(in-site) > 알쓸별잡'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문수 vs 한덕수 보수 단일화, 과연 누가 후보가 될까? (2) | 2025.05.07 |
---|---|
김문수 vs 이재명 대선 구도, 어떻게 흘러갈까? (0) | 2025.05.06 |
4월 23일, 칼퇴각! 오늘 퇴근 후 바로 달려가야 할 곳? 2025 서울야외도서관 개장 (4) | 2025.04.23 |
코로나 확진자, 동거인 자가 격리 기준, 지원금 등 총정리 (1) | 2022.05.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