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치료제 시장 폭풍 성장,
급등하는 관련주는?
이제는 주사 한 방으로 살이 빠진다? 비만치료제 '위고비(Wegovy)'가 전 세계적인 관심을 받으며, 국내에서도 관련 테마주들이 다시 불을 붙였습니다. 2025년 4월 24일, 주요 종목들이 줄줄이 상한가를 기록하며
‘다이어트는 이제 약으로 해결하는 시대’라는 인식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GLP-1 작용제는 원래 당뇨병 치료제로 개발됐으나, 식욕 억제 및 체중 감량 효과가 입증되며 비만 치료제로 주목받기 시작했습니다. 대표적으로 ‘위고비(Wegovy)’와 ‘오젬픽(Ozempic)’이 있으며, 글로벌 제약사와 국내 기업 모두 GLP-1 기반 치료제 개발 경쟁에 뛰어든 상태입니다. 이 기술은 주사제, 경구제, 패치제형까지 확장되며 시장이 빠르게 확대 중입니다.

특히 노보노디스크의 '위고비(Wegovy)'가 국내에 상륙하면서 "약으로 살을 뺀다"는 개념이 현실로 다가왔고, 시장은 그야말로 '위고비 신드롬'에 휩싸였습니다. 과거 미용의 영역으로 여겨지던 비만 관리가 이제는 의학적 치료의 대상으로 인식이 전환되면서, 관련 시장은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국내 비만치료제 수혜 기대주 총정리
글로벌 비만치료제 시장의 폭발적인 성장세 속에서 국내 기업들의 움직임도 빨라지고 있습니다. 혁신적인 기술과 파이프라인으로 무장한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글로벌 시장 진출을 노리며 투자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특히 기대를 모으는 기업들을 소개합니다.
한미약품 (008930)
국내 대표 제약사로, 대사질환 분야에서 강력한 R&D 역량을 바탕으로 다수의 신약 후보물질을 개발 중

최근 이슈: GLP-1/GIP/GCG 삼중 작용제 HM15275, 미국 임상 1상 진입.
상승 가능성: Best-in-Class 기대 후보군 보유, 국내외 학회 발표 모멘텀 및 MASH 치료제 임상 진전 기대.
인벤티지랩 (389470)
장기지속형 주사제(마이크로스피어)와 지질나노입자(LNP) 연구개발·제조를 핵심 사업으로 하는 바이오기업
자체 개발한 ‘IVL-DrugFluidic’ 플랫폼을 통해 고분자 미세입자 제형의 장기지속형 주사제를 구현, 기존 약물의 부작용을 줄이면서 지속효과를 높이는 기술을 보유

최근 이슈: 경구용 비만치료제 개발. 1주 1회 복용 기술 확보 발표
상승 가능성: 기존 주사제와 차별화된 '먹는 비만약'이라는 점에서 시장의 기대가 큼
펩트론 (087010)
약효 지속형 플랫폼 ‘스마트데포’ 기술 기반의 비만·당뇨 치료제를 개발 중인 바이오기업

최근 이슈: 글로벌 제약사와 기술이전 협상 기대감, 신공장 증설 계획 발표.
상승 가능성: PT403·PT404 기술이전 성사 시 기업 가치 재평가 기대, 다만 기술이전 지연 리스크 존재.
큐라티스 (348080)
연세의대 벤처 출신 백신·면역증강제 개발 전문기업으로, 성인·청소년용 결핵백신(QTP101)과 차세대 코로나19 백신(QTP104) 파이프라인을 보유, 충북 오송 바이오플랜트를 통한 CDMO 사업도 운영하며, 단백질 항원(ID93)과 GLA-SE 면역증강제 기반의 백신 플랫폼 등 독자적 면역증강 기술을 핵심 역량

최근 이슈: 비만 치료 후보물질 확보 및 연구 진행 중
상승 가능성: 비만약 시장 진입 가능성으로 새롭게 주목받는 초기 기대주
블루엠텍 (439580)
의약품 전문 전자상거래 기업으로, 2018년 출범한 병·의원 대상 B2B 플랫폼 ‘블루팜코리아’를 통해 백신·의약외품을 직접 유통하는 데 주력. IT·AI 기반의 주문·재고관리 시스템과 물류 네트워크를 활용해 기존 오프라인 유통체계를 온라인 직거래 방식으로 전환하여 공급 효율화를 추구하는 디지털 물류기술이 특징

최근 이슈: 비만 치료제 직접 개발보다는 위고비 관련 테마 수혜주로 분류
상승 가능성: 헬스케어 테마 수혜주로 단기 급등했으나, 추세 유지 여부는 관건

대봉엘에스 (078140)
원료의약품 및 화장품 소재 개발 전문기업으로, 특히 펩타이드 합성 기술에 강점.
최근 32개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펩타이드 의약품 ‘리라글루타이드’를 친환경 방식(‘소노 케미스트리’ 초음파 합성)으로 성공 합성하였으며 , 이를 토대로 고분자 펩타이드의 고순도·고수율 제조 기술을 핵심 경쟁력으로 내세우고 있다

최근 이슈: GLP-1 유도체 원료의약품 생산 능력 부각
상승 가능성: 직접적인 치료제 개발은 아니지만 안정적인 실적 기반의 테마 수혜주
삼천당제약 (000250)
안과 의약품과 바이오시밀러 강자에서, ‘S-PASS’ 플랫폼으로 경구용 비만치료제 개발 중

최근 이슈: 세마글루타이드 경구 제제(SCD0506) 임상 준비, 글로벌 제약사와 텀시트 체결.
상승 가능성: 제형 편의성과 글로벌 계약 가능성 부각, 다만 높은 기대감 반영과 특허 리스크 주의.
동아에스티 (170900)
ETC·바이오시밀러·신약개발을 아우르는 종합 제약사로, 미국 자회사를 통한 비만 치료제 개발 중.

최근 이슈: GLP-1 이중작용제 DA-1726, 미국 임상 1상서 우수한 체중 감량 효과 입증.
상승 가능성: 후속 임상 및 기술이전 성사 시 가치 재평가 가능, 바이오시밀러 사업 통한 수익 안정성도 보유.
한독 (002390)
국내 대표적인 종합제약사로 당뇨병·비만 치료제 분야를 강화 중이다. 특히 바이오콘(Biocon)과 손잡고 GLP-1 유사체인 리라글루타이드 성분의 비만 치료제(콜린 제네릭)의 국내 독점 판매권을 확보.

최근 이슈: 노보노디스크의 위고비 국내 유통사
상승 가능성: 실질적인 매출 발생 가능성이 높아, 단기보다는 중장기 수혜 기대
라파스 (214260)
기마이크로니들 패치 기술 전문 기업으로, 세마글루타이드 기반 비만 치료 패치를 개발 중.

최근 이슈: 위고비 패치 임상 1상 종료, 상온보관 가능성과 자가투여 편의성 부각.
상승 가능성: 임상 3상 진입 및 기술이전 성사 시 급등 가능성, 플랫폼 기술의 확장성과 실용성 주목.
GLP-1 작용제라는 혁신적인 기술의 등장, 그리고 비만을 질병으로 인식하는 사회적 변화가 맞물린 결과, 글로벌 비만치료제 시장은 연평균 48~50%에 육박하는 경이로운 성장률을 기록하며 2028년에는 466억 달러(약 64조 원) 규모에 이를 것으로 예측됩니다. 일부에서는 2030년 100조 원 시장을 전망하기도 합니다. 이는 다른 제약 산업 분야보다 5배 이상 빠른 성장 속도입니다. 이러한 폭발적인 시장 성장은 단순한 유행이 아닙니다.
AI 광풍 부는 주식시장, 2025년 AI 관련 대장주
지금 주식시장은‘AI 테마’ 전성시대 요즘 주식시장을 보면 단 하나의 키워드가 보입니다. 바로 AI(인공지능)입니다. 몇 달 전까지만 해도 단기 테마 정도로 여겨졌던 AI 종목들이 이제는 시장을
08260517.tistory.com
'인사이트(in-site) > 주식 & 코인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K-바이오 주목! 2025년 기대주 '인투셀', 공모주 청약 오늘(13일)부터! 핵심 정보 & 시장 반응 총정리 (3) | 2025.05.13 |
---|---|
5월에는 팔고 떠나라? 나는 이 주식 사고 떠난다 (4) | 2025.04.28 |
퓨리오사AI 효과, 지금 뜨거운 AI 관련주 총정리 (1) | 2025.04.23 |
AI 광풍 부는 주식시장, 2025년 AI 관련 대장주 (1) | 2025.04.22 |
댓글